표본정보
국가지정·등록표본번호 | |
---|---|
수장기관표본번호 | CUE JI-2E Dr001 |
기타표본번호 | CUE JI-2E Dr001 |
일반명 | 생흔화석(trace fossil) |
화석구분 | 생흔화석(t) |
생흔화석-행동양상 | 이동(r) |
생흔화석-과 | |
생흔화석-속 | Dromaeosauriformipes(드로마에오사우리포미페스) |
생흔화석-생산자 | 척추동물 |
학명 | Dromaeosauriformipes rarus Kim et al., 2018 |
모식종 | Dromaeosauriformipes rarus Kim et al., 2018 |
담명모식-종류 | 완모식(holotype) |
담명모식-표본번호 | |
담명모식-수장기관 | |
담명모식-참고문헌 | Kim et al., 2018, Fig. SI-2 |
해당표본모식여부 | 완모식(holotype) |
형태적 특징 | Seven consecutive didactyl tracks averaging only 1.03 cm long and 0.41 cm wide (L/W 2.49) with and average step of 4.62 cm. Thus average step length is ~4.5 x footprint length. The mean pace angulation is 188°. Trackway 2 is very different in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ree footprints (R-L-R) separated by relatively long steps. The tracks are similar in size to Trackway 1, averaging 1.05 cm long and 0.40 cm wide (L/W 2.63), but the two steps 25.16 and 31.28 cm (stride 55.63 cm) are about 5.5–6 times as long as in Trackway 1. |
지질시대 | 중생대(백악기) |
분지 | 경상분지 |
지층명 | 경상누층군, 신동층군, 진주층 |
암상 | 셰일/사암 |
산지 | 경남 진주시 호탄동 |
크기 | 70x40 |
암석표본내 보존상황 | |
종의 수 | 1.0 |
보존양상 | 상부음각(Ce) |
보존된 부분 | Complete |
카운터파트 유무 | 없음 |
수장기관정보 |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|
표본취득방법 | 기증(Donated) |
채집자/기증자 | 진주교육대학교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 |
취득일 | None |
참고문헌1 | Kim, K.S., Lim, J.D., Lockley, M.G., Xing, L., Kim, D.H., Pinuela, L., Romilio, A., Yoo, J.S., Kim, J.H., Ahn, J. (2018) Smallest known raptor tracks suggests microraptorine activity in lakeshore setting. Scientific Reports, 8:16908. |
참고문헌2 | |
참고문헌3 | |
임시등급평가 | 1(최고) |
최종등급평가 | 가(국가지정필요) |
유산 가치 |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공룡 보행렬이다. |
비고-화석표본 | |
비고-암석표본 | |
비고-행정처리 | |
작업자 | 김경수 |
작업일 | 2021년 9월 30일 |
검토의견 | |
검토자 | |
검토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