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본정보
| 국가지정·등록표본번호 | |
|---|---|
| 수장기관표본번호 | KIGAM 9J115 |
| 기타표본번호 | SNUP 2550 |
| 일반명 | 기타 |
| 화석구분 | 체화석(b) |
| 분류일반 | 무척추동물(i) |
| 분류체계 | Animalia (동물) > Echinodermata (극피동물) > Stylophora (스타일로포라) > Cornuta (코뉴타) > Cothurnocystidae (코쑤노시스티대) |
| 학명 | Sokkaejaecystis serrata Lee, Lefebvre & Choi, 2005 |
| 모식종 | Sokkaejaecystis serrata Lee, Lefebvre & Choi, 2005 |
| 담명모식-종류 | 완모식(holotype) |
| 담명모식-표본번호 | SNUP 2560 |
| 담명모식-수장기관 | 한국지질자원연구원, 지질박물관 |
| 담명모식-참고문헌 | Lee et al. (2005), Figs. 5.1, 5.2, 5.5 |
| 해당표본모식여부 | 부모식(paratype) |
| 형태적 특징 | A small boot-shaped spiny cornute, with smooth lower surface; posteriorly open thecal frame consisting of 10 marginals, two adorals, and large integumentary areas; right thecal margin made of three marginals, M2, Mc, and M3, with strong lateral blades; left thecal side comprising three marginals, M’2/3, M’4, and digital, with spiny outer flange; expanded, fanlike glossal with fibrillar ornamentation and serrated outer margin; right adoral orifice present; no cothurnopores; supracentrals numerous, with central processs; large anal pyramid; proximal aulacophore made of eight to 11 rings, with spines articulated to some inferolaterals; brachials with keeled lower surface. |
| 지질시대 | 고생대(캠브리아기) |
| 분지 | 태백산분지 |
| 지층명 | 조선누층군, 태백층군, 동점층 |
| 암상 | 세립 사암 |
| 산지 |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산 1-189(석개재 임도) 37°04’19”N129°08’39”E [카카오맵] |
| 크기 | 3.7*2*0.5(암석) |
| 암석표본내 보존상황 | OSMS(1종/여러표본) |
| 종의 수 | 1 |
| 보존양상 | 외형본(Em) |
| 보존된 부분 | nearly complete (theca and aulacophore) |
| 카운터파트 유무 | 있음 |
| 수장기관정보 | 지질박물관(한국지질자원연구원) |
| 표본취득방법 | 채집(Collected) |
| 채집자/기증자 | 이승배 |
| 취득일 | 2002년 1월 1일 |
| 참고문헌1 | Lee, S.-B., Lefebvre, B., and Choi, D.K. (2005) Latest Cambrian cornutes (Echinodermata: Stylophora) from the Taebaeksan Basin, Korea. Journal of Paleontology, 79(1), pp. 139-151. |
| 참고문헌2 | |
| 참고문헌3 | |
| 임시등급평가 | |
| 최종등급평가 | 가(국가지정필요) |
| 유산 가치 | 신속 신종의 모식표본 |
| 비고-화석표본 | |
| 비고-암석표본 | |
| 비고-행정처리 | |
| 작업자 | 이승배 |
| 작업일 | 2021년 9월 27일 |
| 검토의견 | |
| 검토자 | |
| 검토일 |